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3

사무직 한글 실무 : 보고서 작성 TIP 3. 가장 가독성이 좋은 자간 장평 자간이란? 글자와 글자의 사이 간격. (행간이라고도 부름) 장평이란? 국어사전에는 등재되어있지 않지만 워드프로세서에서 쓰이는 말로 글자 하나의 가로폭이나 세로 폭의 길이를 기준으로 하여 조절할 때 말한다. "자간이 쓰이는 곳" 한글 프로그램으로 작성항 문서를 출력해보면 글자의 배치가 어딘가 어색합니다. 상업적으로 시판되는 책과 신문 잡지를 보면 글자들이 깔끔하게 정렬되어 있어 가독성이 매우 높은데 왜 내가 작성한 출력물은 그런 느낌이 나지 않는 걸까. 기본 글꼴들은 대체로 글자와 글자 사이가 벌어져있어서 막상 출력해보면 보기 좋게 보이지 않기 때문에 출판사 편집자들은 항상 자간 간격 조정을 하며 편집하고 있습니다. 대체로 기본 글꼴에서 -3에서 -5 정도로 지정하여 간격을 좁게 만듭니다. "장평이 쓰이는.. 2022. 3. 29.
사무직 한글 실무 : 보고서 작성 TIP 2. 한글(HWP)에서 메모삽입하는 방법 엑셀의 메모 기능은 참 편리합니다. 직원들과 문서를 공유할 때 마치 포스트잇 붙이듯이 이 셀에 어떤 정보를 담고 있는지 추가적으로 알려줄 수 있고, 보충 내용을 작성해둘 수 있죠. 의외로 많은 분들이 모르는 것인데, 한글에서도 메모 삽입이 가능합니다. 한글 프로그램은 글을 쓰는 프로그램이니까 글로 알려주면 되지 굳이 메모가 필요할까?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 한글에서의 메모 기능은 예제를 포함한 서식이나 양식을 공유시킬 때 특수문자 ○○○으로 공란으로 처리한 부분에 어떤 내용을 쓰면 되는지 알려줄 때 많이 사용됩니다. 한 번 보겠습니다. 공란 부분에 어떤 내용을 써야하는지 지시해주고 있습니다. 한글로 메모 삽입하는 방법 1. 메모 넣을 부분을 드래그해서 블록으로 선택합니다. ※블록이란? 특정 단어, 문단,.. 2022. 3. 28.
사무직 한글 실무 : 보고서 작성 TIP 1. 본문에서 번호 숫자가 들어가는 제목을 스타일 지정해서 똑같이 맞추기 한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보고서나 제안서 등을 작성할 때 가장 많이 사용되는 편집 기능을 꼽으라고 한다면 1. 가나다 2. 라마바 3. 사아자... 식으로 같은 스타일을 적용하여 숫자가 들어간 제목의 글꼴을 맞추는 기능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앞서 편집 기능이라고 쓴 것과 같이, 이 작성법은 숫자와 제목 글자 서식을 일일이 지정하는 것이 아니라 기능을 사용하여 처음에만 지정해둔 후 작성된 글자 뒤에 커서를 놓고 클릭 한 번으로 계속 적용시키면 된다. 실무에서 이런 작성법에 관해 선임한테 물어보면 "스타일을 지정해서 하면 될 것이다"라고 들을 것이다. 최근에 워드프로세서 자격증을 취득한 사람이라면 "아하~" 하고 바로 알아듣겠지만 사람이 늘 사무직 일만 하는 것도 아니고 취득한 지 꽤 되었다면 모를 수.. 2022. 3. 27.